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

덤프버전 : (♥ 0)

1. 개요
2. 배경
3. 역할
4. 진행 사항
5. 참여 대학[1]
6. 연관 문서


파일:동아시아교원양성국제컨포시엄로고.gif

1. 개요[편집]


국문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
영문International Consortium for Universities of Education in East Asia (ICUE)
중문东亚教师教育大学联盟
일문東アジア教員養成国際コンソーシアム

공식 홈페이지

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은 교육의 고도화에 따른 교원의 자질 향상을 기하기 위한 국제 연대의 중요성, 그 중에서도 공통의 연구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동아시아지역 대학들과의 연대 강화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설립된 국제 대학 협의체이다.

대한민국, 중국, 대만, 일본, 몽골 지역의 교원양성계 대학들과 컨소시엄을 조직하고, 교원양성 문제 전반에 관한 국제연대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목적•목표로 한다.


2. 배경[편집]


2006년 12월에 도쿄학예대학(도쿄가쿠게이대학)이 주최해서 개최한 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심포지엄에 참가한 공주대학교 김재현 총장이 참가한 각 대학에게 교원 양성 문제에 관하여 협력하는 협의체 결성할 것을 제안하며, 참가 대학들이 이에 합의한 것을 기점으로 하고 있다. #

그 후 대한민국을 비롯해 컨소시엄의 중심이 되는 교원양성대학들, 중국 권역별 주요 사범대학 총장 등 대학 대표 9명, 일본 동경학예대학 등 일본의 4개 교원양성대학 총학장, 세계 각국 교원양성 관련 교수들이 검토를 계속했으며, 마침내 2009년 12월 18일 정식으로 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을 결성하기에 이르렀다.

현재의 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은 도쿄학예대학에 사무국을 두고 오사카교육대학, 베이징사범대학, 화둥사범대학, 공주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각 국가 대표 2개 대학 총 6개 간사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46개의 교원 양성 대학ㆍ학부 제휴 아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2]


3. 역할[편집]


  • 교원양성에 관한 국제공동연구의 추진
  • 교직 지망 학생의 국제교류 촉진
  • 교원양성계 대학 교원의 상호 파견
  • 동아시아 교육 발전에 기여하는 사업의 추진


4. 진행 사항[편집]


횟수주최 대학테마날짜비고
1회도쿄학예대학동아시아에 있어서의 교원양성 문제의 금일적 국면2006년12월
2회화둥사범대학, 상하이사범대학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2007년 11월
3회공주대학교글로벌교육과 연구확산을 위한 회원 대학간 공동학위제 및 교육연구실습 교류 방안 모색2008년 10월
4회오사카교육대학, 교토교육대학, 나라교육대학교사교육의 질 향상과 고도화를 향한 금일적 과제2009년 11월
5회베이징사범대학정보화 사회에 있어서의 교원양성의 발전 동향과 도전2010년 9월
6회서울교육대학교동아시아의 전통문화와 현대교사교육2011년 6월
7회도쿄학예대학동아시아 대학에 있어서의 교원양성 질 보장2012년 11월
8회둥베이사범대학2013년 10월
9회한국교원대학교디지털시대의 스마트교육과 교사교육2014년 11월[3]
10회아이치교육대학글로벌 시대의 교원 양성 고도화2015년 10월
11회화중사범대학인터넷 시대의 교사 교육의 변화와 혁신2016년 10월
12회서울교육대학교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한 교사교육의 방향2017년 6월[4]
13회도쿄학예대학차세대 육성 교육을 향해서2018년 10월[5]
14회산시사범대학미래지향적인 교육의 교원 전문성과 교원 교육2019년 10월
2020년은 COVID-19로 인해 연기
15회공주대학교디지털전환 시대: 교원 교육제도 개혁2021년 10월[6]
16회시난대학2022년 10월
17회오사카교육대학, 도쿄학예대학2023년 12월


5. 참여 대학[7][편집]



파일:동아시아교원양성국제컨포시엄로고.gif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8개교)
공주대학교사무국 · 운영위원서울교육대학교운영위원
경북대학교경인교육대학교공주교육대학교광주교육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서울시립대학교순천대학교
전남대학교전주교육대학교제주대학교진주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춘천교육대학교충북대학교한국교원대학교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5개교)
베이징사범대학사무국 · 운영위원화둥사범대학운영위원
강소사범대학광서사범대학국립타이완사범대학국립타이중교육대학
난징사범대학동북사범대학산서사범대학산시사범대학
상하이사범대학서남대학홍콩교육대학화중사범대학
후난사범대학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3개교)
도쿄학예대학사무국 · 운영위원오사카교육대학운영위원
교토교육대학나라교육대학나루토교육대학사이타마대학
아이치교육대학에히메대학요코하마국립대학죠에츠교육대학
치바대학홋카이도교육대학히로시마대학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1개교)
몽골국립교육대학




6. 연관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5:42:14에 나무위키 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9년 10월 기준.[2] 동아시아 교원양성 국제컨소시엄 규약 제3장 제6조 국제컨소시엄 사업 실시와 관련한 사항, 규약의 개정과 폐지, 그 외 중요한 사항을 심의 결정하기 위해 국제 컨소시엄 운영위원회를 둔다. 국제 컨소시엄 운영 위원회는 각국 2개교(각국의 국내 컨소시엄 책임 간사교)의 대표로 구성된다. 단 국제 컨소시엄 운영 위원회는 이하의 대학으로 구성된다. 중국: 베이징사범대학, 화동사범대학. 한국: 공주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일본: 동경학예대학, 오사카교육대학.[3] 국립몽골교육대학 가입승인.[4] 대구교육대학교 가입 승인.[5] 경북대학교, 순천대학교, 충북대학교 가입 승인.[6] COVID-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했다.[7] 2019년 10월 기준.